전체 글(842)
-
2020년 2사분기 먹은 근황 3탄
이 대 코로나 시대에 먹은 근황이 3탄까지 나올 줄이야... 반성한다... 그런데 3사분기에도 이만큼 나오는건 아니겠지... #. 합정 포비 베이글 아마 여길 첨부터 가려고 갔을리는 없고, 신랑이랑 옥동식 아니면 멘야하나비를 먹고 옮겨간 집이었겠지. 합정 교보문고에 주차해 둔 차를 빼서 나오는 길에 항상 보이는 까페라서 가보고 싶단 생각은 많이 했었는데, 베이글을 파는지는 몰랐고, 알고보니 광화문 디타워에도 있는 그 집이었다. 사람들이 줄을 엄청 늘어서서 베이글도 사먹고, 옆 쪽에서 커피도 사마시길래 따라 했는데, 솔직히 포비 베이글 맛있다고 일부러 막 찾아가 드시고 그러는 분들이 혹시 이 글을 보신다면, 그 열정과 에너지를 단 한 번만이라도 연희동 에브리띵 베이글에 써 주시기를 바랍니다. 제발. 베이글..
2020.09.07 -
2020년 2사분기 먹은 근황 2탄
#. 연희동 센트그릴 풀드포크와 브리스킷을 맛볼 수 있는 비비큐 전문점이 연희동에도 생겼다. 어디선가 추천하는 글을 보고 저장해 둔 곳이었는데, 아부지랑 한 번 가려고 시도 했을 때는 뭔가 공사중이었고, 두 번째 시도에 성공. 미쿡스러운 느낌의 인테리어, 자리는 널찍널찍하게 떨어져 있고, 음악소리는 좀 큰 편이었던 듯 하지만, 아부지와 대화 나누기에 어려울 정도는 아니었음. 그리고 맛있더라. 플래터를 시켰는데 뭔가 좀 양이 적어보여서 실망할 뻔 했지만 먹어보니 얼추 적당한 양이었다. 그래도 좀 아쉬웠는데 아버지가 더 안 드신다고 해서 ㅋㅋㅋ 더 못 시킴. 소식가 아버지.. 홍대 쪽에도 그릴 바베큐집 뭐 있었는디, 거기랑 비슷한 것 같기도 하고, 먹어본 지가 오래되놔서 비교는 못 하겠다. 고기 맥주 땡기면..
2020.09.07 -
2020년 2사분기 먹은 근황 1탄
코로나 대 창궐하는 이 시기에 먹은 근황이 있었었었다는 걸 깜빡하고 살았다. 4월 즈음에는 이미 어딜 안 나가고 있었다고 생각했지만, 지금 다시 돌아보니 4~6월 사이에도 참 이것저것 많이 잘 먹고 다녔네. (그래서 코로나가 안 끝나나....) #. 강남역 창화루 늙은이들이 젊은이들 넘쳐흐르는 강남역에서 만나 밥을 먹을라니까, 최근 유행하는 스타일의 네온사인 간판 달린 중국집에 갔는데, 아니나 다를까 전혀 맛이가 없었다..... 맛이 없었어.... #. 연남동 연교 어른들의 중국집은 바로 이런 맛이어야지!!!!!!! 이제는 갈 수 없는 한남동 바코 사장님 인스타에서 보고 저장해 둔, 만두 맛집 연남동 연교. 만두는 그냥 뭐 다 맛있었고, 처음 먹어보는 지삼선(!)이랑 동파육(!!)도 진짜 맛있었다. 또 ..
2020.09.07 -
독서일기: 파과 - 구병모
p.193 최고의 시절에 누군가의 입속을 가득 채웠어야 할, 그러지 못한, 지금은 시큼한 시취를 풍기는 덩어리에 손을 뻗는다. 집어 올리자마자 그것은 그녀의 손 안에서 그대로 부서져 흘러내린다. (...) 그녀는 문득 콧속을 파고드는 시지근한 냄새를 맡으며 눈물을 흘린다. 구병모 작가의 위저드 베이커리를 읽고, 꼭 그녀의 다른 작품도 찾아 읽겠다고 다짐한지 3~4개월 만에 선택한 두 번째 작품. 이 책은 살인청부업체에 몸 담고 있는 노년의 여성 화자, '조각'의 이야기이다. 이 할머니(...라고 부르면 칼 맞을 것 같지만, 이제 여러모로 본인이 예전과 같지 않음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분)의 이야기는 모든 구절, 모든 챕터가 너무 새롭고 흥미진진해서 진짜 엄청 집중해서 읽었다. 그녀가 일하거나 상대를 대..
2020.08.04 -
독서일기: 선량한 차별주의자 - 김지혜
p.23 여성이 '평균적으로' 불리하다는 사실은 추상적이라 잘 와닿지 않는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어떤 여성이 자신보다 더 좋은 조건에 있다는 사실은 구체적인 감각으로 경험된다. p.33 누군가는 여전히 특권이란 말이 불편할 수 있다. 한국인으로서 혹은 남성으로서 이렇게 살기 힘든데 나에게 무슨 특권이 있는 거냐고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불평등이란 말이 그러하듯, 특권 역시 상대적인 개념이다. 다른 집단과 비교해서 자연스럽고 편안하고 유리한 질서가 있다는 것이지, 삶이 절대적으로 쉽다는 의미가 아니다. p.101 그렇다고 두가지 비하성 언어가 담고 있는 사회적 맥락까지 동일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김치녀'는 '사치를 부리며 남성에게 피해를 끼치는 존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말은 여성이 남..
2020.08.03 -
독서일기: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 김원영
p.60 서로를 인격체로 존중하는 상호작용은 실재를 공유하면서 그 존중을 강화한다. 모르는 척해주는 익명의 대학생이 고마워서 그를 존중하며, 자신을 존중하려 애쓰는 자폐아 부모의 노력을 아는 대학생은 더더욱 무심한 척 책으로 눈길을 돌린다. 타인이 나의 반응에 다시 반응하는 존재라는 사실을 인정할 때 우리는 타인을 존중하게 되며, 나를 존중하는 타인을 통해 나 자신을 다시 존중하게 된다. p.63 반면 품격을 위한 퍼포먼스에서는 그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반드시 실재를 공유할 필요가 없고, 서로의 반응에 다시 반응하는 상호작용이 필요하지도 않다. 품격 있는 권력자의 고매한 태도를 연출할 때, 의전을 수행하는 실무자는 그 무대에 굳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p.64 하지만 인간의 존엄성이 가장 극명하게 ..
2020.06.22